웹을 지탱하는 기술 3가지를 쓰고 그 관계를 설명하시오. (27~28p)
웹 이전의 하이퍼미디어, 분산 시스템과 비교하는 관점에서 하이퍼미디어로서의 웹, 분산시스템의로서의 웹을 설명하시오. (42~43p)
웹 2.0에선 매쉬업이 중요했다. 매쉬업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REST가 승리한 요인은 무엇인가? (51~52p)
아키텍쳐 스타일이란 무엇인가? (54p)
리소스란 무엇인가? (58p)
URI란 무엇인가? 또한 URI가 가진 Addressability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58~60p)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주고받는 어떤 구체적인 데이터를 무엇이라 하는가? (61p)
REST는 복수의 아키텍처 스타일을 조합하여 구축한 복합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6가지 아키텍처 스타일을 모두 나열하고 각 아키텍처 스타일이 주는 장점을 차례대로 모두 설명하시오. (62~69p)
REST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인 접속성(Connectedness)이란 무엇인가? (72p)
기존 분산 시스템의 문제점과 이에 비해 REST가 갖는 장점들은 무엇인가? (72~73p)
http://yohei:pass@blog.example.com:8000/search?q=test&debug=true#n10과 같은 URI에서 각 7개의 구성요소를 구분하여 쓰시오. (79p)
시작점이 /foo/bar/ 일 때 상대 경로 ../hoge/fuga의 절대 경로를 쓰시오. (81p)
URL 구현에서 주의할 점 2가지를 모두 설명하시오. (89p)
URI, URL, URN이 무엇인지 각각 쓰시오. (90~91p)
Cool URI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를 위한한 URI 설계지침 5가지를 모두 설명하시오. (92~98p)
URI의 불투명성에 대해서 아는대로 설명하시오. (107~108p)
웹 서비스와 웹 API 설계에 있어서 URI가 중요한 이유 3가지는 무엇인가? (109p)
HTTP 메시지 구조를 그리고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23~128p)
스타트라인
애플리케이션 상태란 무엇인가? 그리고 Stateful 서버의 결점은 무엇인가? (131~132p)
Self Descriptive Message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Stateless 서버의 장점을 쓰시오. (132~134p)
Stateless 서버의 단점은 무엇인가? (134~136p)
자바 프로그램은 두단계에 거쳐 실행된다
자바는 객체지향이지만 그렇다고 다 객체 지향인것은 아니다
primitive type : 기본 타입 네가지(byte, short, ing, long)는 부호 있는 정수 타입이고, 두 가지(float, double) 부동소수점 타입이며, 하나는 문자열 인코딩에 사용하는 문자타입인 char, 나머지 하나는 진리값 boolean타입이다.
char 타입은 자바가 사용하는 UTF-16 문자 인코딩의 코드 유닛을 나타낸다.
final 키워드는 한번 할당하면 변경할 수 없는 값에 사용한다. 상수는 보통 변수를 대문자로 선언안다. static 키워드로 상수를 메서드 외부에 선언할 수 있다.
서로 관련있는 상수의 집합을 enumerated type으로 정의할 수 있다.
자바 프로그램은 두단계에 거쳐 실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