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2-10 TIL

5Fs

1. Fact

1. 네트워크

  • 컴퓨터 네트워크란

    1. 복수의 컴퓨터가 데이터 통신으로 리소스를 주고받는것.

      • 데이터 : 무언가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상에서 표현한것.
  • 통신매체 : 컴퓨터와 컴퓨터 그리고 그 둘을 연결해서 데이터가 지나는 파이프를 생각해 보면 됨.
  • 인터페이스 : 컴퓨터에 파이프를 연결할 때 컴퓨터에 파이프 접속구. 어떤 계층의 접촉면? 라고 생각하면 될듯
  • 프로토콜 : 데이터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사용하는 규칙을 정한 뒤에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하는데 이 규칙을 protocol이라고 한다.

    1.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 회선교환과 패킷교환

    1. 회선교환 : 교환기가 있다면 각각 기체가 교환기에 연결선을 둬 연결되어져 있고, 연결된 교환기에 연결된 선을 독점해 사용하여 통신하는것.
    2. 패킷교환 : 현재의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고, 송신하고 싶은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한번에 보내지 않고 여럿으로 분할해서 송신하는 방법.

      • 패킷이 회선을 점유하는 시간이 짧아져 복수의 컴퓨터가 회선을 공유할 수 있음.
  • 라우터 :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자신과 연결된 기기에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함.

    1. 세그먼트 : 라우터 내에 한개의 케이블로 분배되어 연결되어져 있는 범위.

      • 이 범위 내에선 라우터의 패킷 교환 없이 직접 송수신이 가능.(그럼 패킷 행태로 보내나 ?)
      • 이 범위 내의 컴퓨터 끼리는 라우터가 없어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
      • 한 세그먼트 범위 내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 허브를 사용함.
      • 허브 : 케이블에 T자 분배기를 넣지 않아도 여러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게 해줌.
      • 멀티 액세스 네트워크 : 복수의 기기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의미
      • 컴퓨터 한대가 다른 한대의 컴퓨터에 데이털르 보내는 것 포인트 투 포인트 네트워크(라우터와 라우터, 라우터와 허브)
    2. multi access network 와 point to point network를 이용하여 패킷 교환 네트워크가 만들어짐.
  • LAN과 WAN

    1. LAN(Local Area Network)

      • 구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2. WAN(Wide Area Network)

      • 떨어져 있는 지역의 LAN 끼리 통신사업자의 통신 케이블을 빌려서 연결한 네트워크
      •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에게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케이블에 데이터를 전송할 권리를 구입해서 네트워크를 구축 하는것.
  • OSI 참조모델

    1. 데이터 통신을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의 순서를 명확히하고, 이 모델에 따라 프로토콜을 정의해서 데이터 통신을 구축하려고 한것.
    2.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계층으로 이루어짐.
    3. 어떤 계층의 프로토콜 변경은 다른 계층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을 위해서 일하고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 관여하지 않음.
  • 캡슐화

    1. 각 계층마다 데이터가 운반되기 위해선 주소 같은 정보가 필요한데 그것이 포함된 상태를 Protocol Data Unit(PDU)라고 함.
    2. 캡슐화 : 계층이라는 단계를 실시할 때마다 거기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가 하는것. 위에서 이야기한 주소같은 필요한 정보를 앞에 붙히는 것을 header 뒤에 붙히면 trailer라고 한다.
  • 프로토콜

    1. Protocol Suite : 상위 프로토콜과 하위 프로토콜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으면 1부터 7 계층 까지 연결된 프로토콜 그룹이 생기는데 그것을 Protocol Suite라고 함.
    2. 프로토콜을 제못대로 선택하는게 아니라 프로토콜 군 중에서 계층마다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정해져 있음.
    3. 어떤 헤더를 붙일지 결정하는 것도 프로토콜의 역할이고, 각 프로토콜에는 계층의 역할에 따른 기능이 있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헤더를 붙힘.
    4. TCP/IP 프로토콜 군이 현재의 사실표준이다.(De Facto Standard)
  • TCP/IP 모델

    1. IETF(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국제 인터넷 표준화기구는 RFC(Request For Comment)에 TCP/IP를 정해놨음.
    2. TCP/IP는 TCP와 IP라는 두개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Protocol Suite이다.

2.Feelings

  • 오늘은 졸업 문제 때문에 공부를 하나도 하지 못했다.
  • 졸업 요건을 잘못 오해하고 준비해서 지금 졸업을 제때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기분이 너무 안좋다.

3.Findings

  • 세그먼트 : 라우터 안의 여러 컴퓨터가 연결되어져 있는 케이블 범위를 의미하며, 이안에서는 라우터가 없이 통신이 가능함. 근데 라우터를 통한 패킷 교환이 없어도 된다는데 그럼 회선교환이라는거임 ?

4.Future Action Plan

  • 내일은 가장 빨리 졸업할 수 있는 방법 문의하고
  • 함수형 코틀린 delegation 부분과 코루틴 부분 코드로 직접 짜봐야한다.
  • IDDD 읽는다.

5.FeedBack


Written by@Zero1
This blog is for that I organize what I study and my thinking, feeling and experience.

GitH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