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need to enable JavaScript to run this app.
Zero1's Note
D
L
2019-12-26 TIL
5F
1.Fact
스택 array로 구현해보았다.
스택을 linkedlist로 구현하다가 중단했는데 내일 이어서 할것이다.
웹 스터디에섯 HTTP의 status code와 HTTP Header 부분에 대해서 읽고 의견을 나누었다.
달랩 송년회에 참여하였다.
2.Feelings
TDD로 스택을 구현해보았는데, 내가 잘 한건지 잘 모르겠다. 그냥 해봤는데 잘 하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linked list로 구현하는데 쉽지가 않았다.
웹 스터디하면서 내가 웹에 대해서 모르는게 많다고 다시 한번 느꼈다.
3.Findings
웹에서 에러를 처리를 할 때, 프로토콜에 따른 포맷으로 또는 Accept 헤더에 따른 포맷으로 에러를 반환하는 방법이 있다는것을 알게되었다.
웹에서 HTTP Header을 사용하여 content negatiation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클라이언트가 처리할 수 있는 미디어 타입을 서버에 전달하여 협상
클라이언트가 처리할 수 있는 문자 인코딩을 서버에 전달하여 협상.
클라이언트가 처리할 수 있는 언어를 서버에 전달하여 협상.
클라이언트가 전송할 content-Length(body)의 길이를 전송하는 방법도 사용한다.
동적으로 이미지를 생성할 경우, 헤더에 청크의 크기를 입력하여 청크로 나눠서 전송이 가능하다.
4.Future Action Plan
내일 queue를 arraylist를 사용하여 구현하는것을 마무리한다.
이전에 달랩에서 했던 DSA를 보고 어떻게 했는지 분석 공부한다.
재귀 연습해야한다.
5.FeedBack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Buy me a coffee
Written by
@Zero1
This blog is for that I organize what I study and my thinking, feeling and experience.
GitHub
← 2019-12-22 TIL
2019-12-28 TI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