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스터디 5

  • 서브넷 구성과 IP 주소 할당

    1. 일반적으로는 동일한 부서를 서브넷 하나로 묶는다.
    2. 서브넷 분할 방침이 정해지면 각 서브넷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한다. 보통 사설 IP를 할당한다.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선택

    1. 클라우드
    2. 온프레미스
  • 인터넷과의 접속

    1. 광회선이 주류가 된 현재 인터넷을 이용하는 데는 액세스 회선 서비스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두가지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기본적이다.
    2. 액세스 회선이란 가장 가까운 전화국에서 사무실이나 가정까지 연결되는 광회선이다.
  • 서버의 공개

    1. 조직의 건물 내에 서버를 두는 경우 안전한 공조와 전원을 확보할 수 있는 공간에 서버를 둠과 동시에 방화벽에 DMZ 설정해서 여기에 서버를 연결시킨다.
    2. 공개하는 서버는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고정된 전역 IP 주소가할당된다.
  • 네트워크의 다중화

    1. 브로드캐스트 스톰

      • LAN의 접속 라우터를 여러 개 만들면 브로드새크트 프레임이 LAN 내에서 무한히 도는 현상.
      •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Written by@Zero1
This blog is for that I organize what I study and my thinking, feeling and experience.

GitH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