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스터디 2

  1.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와 CIDR

    • 서브넷 별로 서브넷마스크의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 이 기술을 가변길이 서브넷 마스크라고 한다.
    •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면 서브넷 별로 접속할 컴퓨터의 수를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다.
    • CIDR : 잘 이해가 안된다 .. 다시 공부 해봐야겠다.
  2. MAC 주소

    • 이더넷 등의 네트워크 하드웨어에 하나씩 할당되어 있는 주소로 원칙적으로는 다른 것과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값이다.
    • 위에서 이야기한 개체별로 사용하는 주소가 유일하다는 점이 반드시 보장되는것은 아니다.
    • 이더넷등의 네트워크 하드웨어는 통신 대상을 특정하기 위해 MAC주소를 사용함.
    • 현재 주류인 이더넷은 LAN 케이블에서 허브/스위치에 각 컴퓨터를 연결하여 사용함.
    • AA-BB-CC-DD-EE-FF
    • AA-BB-CC : 제조사를 나타내는 벤더 ID
    • DD : 제품 기종을 나타내는 ID
    • EE-FF : 시리얼 번호를 나타냄.
  3. ARP가 필요한 이유

    • 수신 대상이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 그 IP 패킷을 다음 라우터로 넘겨야 하는데 이때 라우터의 IP주소에서 MAC주소를 얻을 필요가 있다.
    • 위의 동작에 ARP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 ARP로 IP주소에서 MAC주소를 얻은 후에 컴퓨터는 그 MAC 주소를 전송처로 지정된 이더넷 프레임을 사용해서 IP패킷을 대상 컴퓨터로 전송한다.
    • ARP에는 브로드 캐스트가 사용된다.
    • 알고자 하는 IP주소를 포함한 ARP 요청을 브로드캐스트
    • 해당 IP를 사용중인 컴퓨터는 MAC 주소를를 요청자에게 직접 전송한다.
  4. 도메인명

    • 인간이 다를 수 있는 범위에 맞춰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 명칭으로 도메인명을 쓴다.
    • 인터넷 도메인 명은 전세계에서 유일하도록 관리되며 총본산인데가 ICANN이다. 최상위 도메인을 관리한다.(TLD)
    • 도메인 구조는 www -> 3단계도메인 example ->2단계도메인(SLD), com -> 최상위 도메인(TLD)로 관리된다. www.example.com
  5. 라우팅과 기본 게이트웨이

    • 라우터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한다.
    • 라우터는 전송 규칙에 따라 수행하며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한다.
    • 라우팅 테이블에는 ‘수신처의 네트워크’와 그’네트워크에 대한 발송 방법’이 등록되어있다.
    • 라우터는 패킷을 받으면 그 수신처로 표시되 있는 IP 주소에 서브넷 마스크를 적용해서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한다.
    • 게이트웨이란 자신이 소속된 네트워크 이외에 보내려는 패킷에 대해 어딜로 보낼지 모를때의 전송처이다. 보낼 곳을 모르는 때에 우선 전송해두는곳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일반적으로 기본 게이트웨이로 네트워크의 입출입 역할을 하는 라우터를 설정한다.
  6.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

    • 새로운 네트워크가 추가되는 경우 등 네트워크의 접속 상태가 변하는 때에 그 변경에 따라 관련된 각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을 수정할 필요가 생긴다
    • 정적 라우팅

      • 위의 상황에서 네트워크 접속이 변경될 때마다 관련된 라우터 등의 라우팅 테이블을 수동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 네트워크 규모가 작거나 구성변경이 없는경우 간단히 쓰이는 방법이다.
    • 동적 라우팅

      • 네트워크의 접속 라우터에 관한 정보를 라우터끼리 정기적 또는 필요에 따라 서로 교환하여 그 정보를 기반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자동 관리한다.
      • 신규 네트워크가 연결되면 그 네트워크의 접점이 되는 라우터가 인접해 있는 각 라우터로 새로운 네트워크의 정보를 전달하고 수신한 라우터는 필요에 따라 그 신규 라우터의 정보를 인접 라우터로 전달한다. 이렇게 확산 시키고 각 라우터가 필요한 규칙은 라우팅 테이블에 설정한다.
  7.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테이블을 동적으로 갱신하는 동적 라우팅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라우팅하는 프로토콜이다.
    • 라우팅 프로토콜로 최적 경로를 구하고 여기서 말하는 최적 경로는 네트워크 내를 따라가는 데 있어 최소 경로를 의미한다.

      • 단순히 통신하는 라우터의 수가 적은 경우 최적경로를 구하는 프로토콜 : RIP/RIP2
      • 도중에 통신하는 네트워크의 속도 등도 고려해서 선택하는 프로토콜 : OSPF
    • 라우터는 크게 IGP와 EGP로 나뉜다.

      •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AS(Autonomous System)은 한개의 ISP 또는 대기업의 대규모 네트워크를 칭한다.

      • IGP는 AS 내의 라우팅에 이용하고 EGP는 주로 AS간의 라우팅에 이용한다.
  8. DHCP(Dynamic Host Coniguration Protocol)

    •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에 대해 필요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배포하기 위한 구조다.
    • 컴퓨터의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서버의 IP 주소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대부분 다 포함한다.
    • DHCP는 아직 컴퓨터에 IP주소 등의 네트워크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 사용하므로 IP 주소를 지정해서 하는 일반적인 통신을 이용하지 않는다.
    • DHCP discover(브로드 캐스트) -> DHCP offer(1:1통신) -> DHCP request(offer에 받은 후보를 사용한 다는 사실을 알림) -> DHCP Ack
  9. NAT와 NAPT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몇개의 전역 IP주소를 라우터에 할당해 두고 LAN 내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할때 이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 라우터가 갖고 있는 전역 IP주소의 수로 제한된다.
    • NAPT(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 IP 주소의 변환과 동시에 포트번호도 변환하고 한개의 전역 IP주소를 여러대의 컴퓨터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는 기술
      • 인터넷에 송출할 때 자신의 IP 주소와 port 번호의 조합을 라우터의 전역 IP주소와 라우터가 관리하는 포트번호의 조합으로 변환.

Written by@Zero1
This blog is for that I organize what I study and my thinking, feeling and experience.

GitH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