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 : 네트워크용 하드웨어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끼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
프로토콜
인터넷층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을 기반으로 중계 등의 기능을 추가해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는 대상, 즉 다른 네트워크 내의 대상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다. 다시 말하면 복수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서로 패킷을 교환하는 기능을 한다.
트랜스포트층 : 인터넷층이 만들어낸 임의의 컴퓨터끼리의 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목적에 따른 특성을 가진 통신을 구현
프로토콜
TCP : 먼저 대상끼리 연결 시켜야 하고, 통신하는 사이 패킷에 문제가 있거나 일부 패킷이 손실되거나 또는 패킷의 순서가 바뀌면 해당 오류를 해결하므로 신뢰도가 높은 통신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HTTP, SMTP 등에 사용된다.
레이어별 처리와 패킷
포트번호는 트랜스포트층에서 TCP 또는 UDP가 제공하는 기능이 대상이 갖고 있는 어떤 기능과 접속할지 지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IP 주소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컴퓨터를 식별하는 기능이 있고 다른 데와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되고 전 세계에서 유일한 IP를 공인 IP라고 부르고, 그렇지 않은 것은 사설 IP라고 한다.
IP주소의 클래스와 넷마스크
네트워크 부를 알고 싶을 때는 넷마스크를 이용한다.
subnet 과 subnetmask
브로드 캐스트와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 동일한 이더넷에 접속해 있는 컴퓨터 전체로 데이터를 보내는 통신
멀티캐스트 : 어떤 그룹에 포함된 특정 컴퓨터에 한정해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며, 클래스 D(224.0.0.0 ~ 239.255.255.255)주소가 사용된다.
허브 스위치
허브 : 데이터 전송 기능만을 가짐
스위치 : 그 외의 각종 관리 기능(웹 화면의 설정, 내부 정보 읽기 등)이나 vlan기능 등을 가짐.
라우터
서로 독립되어 있는 이더넷 네트워크 사이에서 양쪽의 패킷을 중계한다.